1515(중종 10)~1590(선조 23).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대윤의 한 사람으로 영의정에 올랐으나, 정여립 모반사건에 연루되어 파직되었다. 이황, 기대승 등과 주자의 인심도심설을 놓고 논쟁을 벌였다.
[관직 생활]
본관은 광주. 자는 과회, 호는 소재, 이재, 암실, 여봉노인. 아버지는 활인서별제를 지낸 홍이다. 장인인 이연경에게 배웠으며, 휴정 등과 사귀면서 불교의 영향도 받았다. 1543년(중종 38) 식년문과에 장원으로 급제한 뒤 전적, 수찬을 지냈다. 1544년 시강원사서가 되고, 같은 해 사가독서했다. 대윤에 속하여 인종 즉위초에는 정언을 지내면서 소윤 이기를 탄핵하여 파직시키기도 했다. 1545년 명종이 어린 나이로 즉위하여 문정대비가 수렴청정을 하자 대비의 동생인 윤원형을 비롯한 소윤이 정권을 잡은 뒤, 윤임 등의 대윤을 제거하기 위하여 1547년 을사사화를 일으켰다. 그는 소윤 계열인 윤춘년과의 친분으로 죽음은 면했으나, 이조좌랑에서 파직되고 순천으로 유배되었다. 1547년 (명종 2) 정황과 함께 양재역 벽서 사건에 연루되어 탄핵을 받고 진도로 옮겨 19년간 귀양을 살았다. 1565년 괴산으로 유배지를 옮겼다가 1567년 (선조 즉위년)에 풀려나 교리, 대사간, 부제학, 대사헌, 이조판서, 대제학을 지내고 1573년 우의정, 1578년 좌의정, 1585년 영의정이 되었다. 1588년 영의정을 사직하고 영중추부사가 되었다. 1589년 정여립의 모반사건으로 기축옥사가 일어나자, 과거에 정여립을 천거한 일이 문제 되어 대간의 탄핵을 받고 파직당했다.
[사상과 일화]
진도에 유배되었을 때 이황, 김인후, 이항, 기대승 등과 서신을 교환하면서, 도심은 체, 인심은 용으로 보는 인심도심체용설을 주장했다. 주자의 인심도심설에 따르지 않고 선가의 용어를 쓴다고 하여 이항과 이황으로부터 비판을 받기도 했다. 우의정으로 있을 때 아버지의 상을 당하자 대상 뒤에 갑자기 검은 갓을 쓰는 것이 미안하다 하여 국상에만 쓰던 흰 갓과 흰 옷을 입었는데, 뒤에 정철이 이것을 본받았다. 원래 담제의 갓에는 정해진 제도가 없었는데, 교리 신점이 경연에서 이야기하여 백포립으로 정해졌다. 진도로 귀양 갔을 때 당시 섬의 풍속은 혼례 없이 남의 집에 있는 여자를 중매를 통하지 않고 빼앗아오는 것이었는데, 예법으로 일깨워 혼인에 예식이 있게 했다. 이때 군수이던 홍인록이 심하게 박대했으나, 뒤에 요직에 있으면서 홍인록이 언관들의 규탄을 받을 때 오히려 그를 옹호했다. 부모의 봉양을 극진히 하여 몸소 음식을 만들어 바쳤으며, 관직이 높아진 후에도 이를 계속했다. 선조는 그를 "한. 유 : 즉 와의 문장이요, 정. 주의 의논이다"라고 했다. 충주 팔봉서원, 상주 도남서원, 진도 봉암사, 괴산 화암서원 등에 제향 되었다. 광해군 초에 선조 묘정에 배향하려는 의논이 있었으나 정여립을 천거했다는 이유로 이루어지지 않았다. 진백의 <숙홍야매잠>을 주해했고, <대학장구>, <동몽수지> 등을 주석했다. 저서로는 <소재집>이 있다. 시호는 문의였다가 뒤에 문간으로 바뀌었다.
댓글